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9 저금리 시대에 채권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는 것이 맞는가? 채권을 지금도 사야하는가? 저금리 시대를 맞이하여 채권 무용론이 흘러나오고 있습니다. 이런 저금리의 이득이 없는 채권을 보유하고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는 것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이죠. 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채권 비중을 극도로 낮춘 레이 달리오 전세계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여러 분들의 판단을 돕기 위해 다양한 의견을 가져왔습니다. 현재와 같은 저금리에서는 채권의 가격이나 금리 모두 기대할 것이 없습니다. 이와중에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통해 채권의 재미를 봤던 레이 달리오는 최근 채권의 비중을 아주 낮췄습니다. 현재 포트폴리오를 봤을 때 채권 대신 P&G나 월마트와 같은 소비재 섹터의 주식을 산 것으로 보입니다. 올웨더를 통해 성공적으로 헤지 펀드를 운영했으며 채권의 .. 2021. 1. 23. 자산 배분시 중요한 것은? 올웨더 VS 영구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 VS 영구 포트폴리오 올웨더 포트폴리오와 함께 가장 유명한 포트폴리오는 영구 포트폴리오 입니다. 이전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설명드릴 대는 단순히 소개만 하였는데요.. 이번에는 제 의견을 함께 드리고 자산 배분을 할 때 고려할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두 포트폴리오의 차이를 보실까요? 올웨더 포트폴리오 영구 포트폴리오 미국 주식 : 30% 미국 중기채 : 15% 미국 장기채 : 40% 금 : 7.5% 원자재 : 7.5% 미국 주식 : 25% 미국 장기채 : 25% 금 : 25% 현금 : 25% 두 포트폴리오는 위와 같이 차이가 납니다. 비중에 차이는 있지만 주식 / 채권 / 금(원자재)에 분산되어 투자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과연 두 포트 폴리오의 수익률과 MDD는 어떻게 나올.. 2021. 1. 23. 요즘 Hot한 ARK ETF 소개 ARK ETF 소개 ARK Investment의 ARKK, ARKG, ARKW, ARKQ, ARKF 5가지의 ARK ETF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파괴적 혁신을 주장하는 ARK Investment의 주장을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ARK ETF 소개 ARK ETF는 파괴적 혁신에 투자하는 active ETF입니다. 따라서 수수료도 0.75%로 높고, 종목의 교체나 매수, 매도도 비교적 많은 편입니다. 현재 ARK Investment는 다음 5개의 ETF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ARKK : ARK Innovation ETF(전체 섹터를 아우르는ETF) ARKG : ARK Genomic Revolution ETF(유전자 혁신 ETF) ARKW : ARK Next Generation Internet ETF(인.. 2021. 1. 23. ETF 세금을 알아 볼까요? 국내 ETF vs 해외 ETF 국내 상장 해외 ETF VS 해외 상장 해외 ETF 안녕하세요. 투자를 할 때 세금은 중요한 문제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투자 종목이라도 세금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지기도 하죠. 특히 국내 상장된 해외 주식 ETF와 해외에서 직접 매수하는 ETF가 어떻게 세금이 다른지 많이들 궁금해 하시는데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증권거래세 국내 주식에는 증권 거래세가 붙지만 국내에 상장된 ETF는 증권거래세가 없습니다. 또한 해외 주식에는 증권거래세가 없습니다. 2. 양도소득세 및 배당소득세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ETF는 양도소득세가 없습니다. 반면,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ETF의 경우 이자, 배당 소득세로 15.4%의 이자, 배당소득세를 내게 됩니다. 해외 상장 ETF의 경우 250만원 공제.. 2021. 1. 22. 경제적 자유, Fire족을 위해서는 월세가 필수? 경제작 자유를 이루기 위해서는 월세가 필수일까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분들이 제일 좋아하시는 제 2의 소득은 아마 월세가 아닐까 합니다. 우리나라 장래희망 1위가 건물주라는 얘기도 있으니깐요.. 그럼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해서는 꼭 월세와 같은 현금흐름이 필요할까요?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매달 현금 흐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것이 꼭 월세와 같이 자산에서 분리되서 확정적 이율로 지급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고정적인 지급을 아주 좋아합니다. 하지만 고정적인 지급에만 집착하면 더 큰 것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고정적인 수입을 절대 나쁘지 않습니다. 월세도, 배당금도 다 좋습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이 자산의 가치입니다. 자산이 상승하지 않고 매달 일정 금액의.. 2021. 1. 22. 주식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을 알아보자(PER, PBR, ROE) PER? PBR? ROE?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 몇 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더 많은 지표들도 있지만 오늘은 3가지 정도만 알아보겠습니다. 3가지 지표는 투자를 할 때 가장 많이 이용되는 지표이니 잘 참고하셔서 매수하기 전에 꼭 한 번 체크를 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우리가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때 자주 사용되는 지표들을 소개하겠습니다. 1.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 입니다.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PER이 높다는 것은 회사가 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높다는 것을 뜻합니다. PER이 10이라고 한다면 현재 회사의 가치가 회사가 내는 이익의 10배라는 것입니다. PER이 상대적인 값이라 절대적으로 높다 낮다를 판단하기는 어렸습.. 2021. 1. 22.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