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9

연 11.8%의 배당을 주는 QYLD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feat. Covered Call) QYLD를 추천하지 않는 이유 저는 절대 어떤 주식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다만 이번에는 과대포장된 느낌을 받고 있는 ETF가 있어 해당 ETF를 분석해 보려고 합니다. 그 주식은 배당의 대명사 QYLD 입니다. QYLD 소개 QYLD는 Nasdaq 100의 Covered Call 전략을 취한 ETF 입니다. 11% 정도의 배당을 월배당으로 지급하여 많은 인기를 얻고 있죠. 가장 핫한 기술주에 투자하면서 큰 월배당까지 받는 ETF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배당주가 인기가 많은 우리나라에서 최근 많은 관심을 보인 주식이기도 합니다. 최고 11.8%까지 배당을 했다고 하는데 월 1% 정도에 해당하는 배당입니다. 과연 이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요? Call 옵션과 Cover Call 전략 그럼 먼저 Covere.. 2021. 1. 26.
ARK Investment의 새로운 상품, 우주에 투자하는 ARKX 출시 예정!! ARKX 소개 ARK Investment에서 새롭게 출시한 우주 ETF ARKX에 관해 간단히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종목을 담고 앞으로 전망이 어떨지 말씀드리겠습니다. ARKX 기본 소개 해당 상품은 우주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역시 ARK 답습니다. ARKX는 다음 6가지 부문에 투자합니다. 재사용 로켓, 준궤도 항공산업, 저궤도 항공산업, 드론 산업, 3D 프린팅, 그 밖에 지원 기술으로 나뉘어 집니다. 단순히 로켓 산업에 투자하기 보다는 로켓 기술을 이용해 앞으로 발전할 산업에 투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준궤도를 이용한 여행 사업, 저궤도를 이용한 통신사업과 드론을 이용한 이동 산업 등 관련 산업에 투자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앞으로 유망한 산업이라고 주목은 받고 있었지만 먼 미래에 일이라고 .. 2021. 1. 26.
포트폴리오에 한국 주식을 포함해야 하는 이유(feat. 개소리) 한국 주식을 꼭 넣어야 하는 이유(오늘은 너무 가벼운 글) 오늘은 포트폴리오 구성을 할 때 한국 주식을 꼭 넣어야 하는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오늘 내용은 약간 개소리(?) 입니다..ㅎㅎ 1. 국가 분산을 위해 Emerging Market 추가 미국 뿐만 아니라 국가적 분산을 위해 Emerging Market 주식을 넣을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로 주식에서는 한국은 Emerging Market으로 분류됩니다. Emerging Market의 주식이 미국의 주식에 비해 변동성이 크고 상승세도 일정하지 않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Emerging Market은 반향성 자체는 SPY와 비슷하나 상승폭이 SPY와 엇갈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00년대에는 Emerging Market의 상승세가 강했다.. 2021. 1. 25.
1년 소비 금액 25배(4% rule)로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없는 이유(Feat. Ben Felix) 1년 소비 금액의 25배(4% rule)로 은퇴할 수 없다. 이전 글과는 반대로 1년 소비 금액의 25배로 Fire족이 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글을 쓰려합니다. 오늘은 캐나다의 투자가 Ben Felix의 의견을 가져와 글을 씁니다. 4% Rule이 놓친 위험 - Longevity Risk(by Ben Felix) 사실 저도 단순 금액을 말씀드리는 것이었고 방법론에 대해서는 조금 더 글을 쓰려고 했었는데, 우연히 해외 유튜버 중 Ben Felix의 유튜브가 있어 해당 의견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Ben Felix는 캐나다의 PWL에서 근무하고 있는 펀드매니저 입니다. Ben Felix는 보통 4% rule을 주장하는 사람은 30년 정도의 Data를 가지고 와서 주장한다고 합니다. 은퇴 후 주식과 채권의.. 2021. 1. 25.
미국 주식 시장은 과연 버블일까?(feat. 마틴 울프) 미국 주식 시장이 버블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 미국 주식 시장은 현재 버블이라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PER은 닷컴 버블을 넘어섰고 역대 최고가를 계속경신하고 있는데요, 과연 미국 주식시장이 버블인지 마틴 울프의 의견을 빌어 살펴보겠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이 버블 논란이 휩싸인 이유 현재 미국의 주식 시장이 미친듯이 과열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버블이냐는 의견과 아니라는 의견이 대립을 이루고 있습니다. 현재 현재 S&P 500의 PER은 40에 육박합니다. 이는 닷컴 버블을 넘어서는 역대급 PER 입니다. 보통 S&P의 PER이 20 전후였던 것을 생각하면 버블이라는 얘기가 나올만 합니다. 영국에 저명한 투자자인 제레미 그랜섬은 역대금 버블이 올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그는 닷컴 버블과 일본의.. 2021. 1. 24.
채권의 대체 자산에는 무엇이 있을까? 채권을 대체할 수 있는가? 오늘은 채권을 대체할 수 있는 자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로 금리시대에 채권 자산의 매력이 극도로 떨어지면서 결제 불황시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대체 자산군을 찾을 필요를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습니다. 이전에 필수 소비재가 대체할 수 있느냐를 살펴봤는데요.. 이번에는 필수 소비재를 포함하여 다른 자산군도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필수 소비재 이전에도 소개해 드렸던 필수 소비재 섹터입니다. 현재 레이 달리오가 채권을 대체하여 매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표적인 ETF로는 XLP가 있습니다. 레이 달리오가 보유하고 있는 P&G와 월마트도 있습니다. 이 외에 코스트코나 콜라 회사 등이 있습니다. ETF로 대체할 수도 있고 개별 주식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이전에도 소.. 2021. 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