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기본5 재테크 기본 시리즈(5) - 목표 수익률과 위험 정하기 목표 수익률과 위험 정하기 내가 감내할 수 있는 최대 하락폭과 목표 수익률은 투자 방향을 정하는 아주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알고 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투자에 대해 이해하기 투자는 우리가 꼭 해야 하는 것이자 리스크를 필수적으로 동반하는 것입니다. 자본주의 시대에서 자본의 상승을 피하며 살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위험에서 벗어나고 자산의 증식을 위해서는 투자는 필수적으로 동반해야 합니다. 따라서 투자를 하지 않고서는 재테크를 논할 수 없다는 점을 알아두셔야 합니다. 아래 글에는 이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했습니다. 2021/02/05 - [재테크 정보/포트폴리오] - 자산배분 투자 시리즈 (1) - 투자를 꼭 해야 하는 이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투자를 꼭 해야 합니다. 하지만 앞.. 2021. 2. 17. 재테크 기본 시리즈(4) - 통장 쪼개기 통장 제대로 쪼개기 우리는 돈을 의미 있게 쓰기 위해서는 돈의 쓰임에 따라 돈에 이름을 붙여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통장 쪼개기의 중요성은 저 말고도 많은 분들이 강조하는 부분이며, 이 글을 통해 자세하게 어떻게 쪼개야 하는지에 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통장 쪼개기 어떻게 시작하나? 통장 쪼개기는 개인에 따라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꼭 필요한 통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월급 수령 통장 : 월급을 수령하는 통장 2. 소비 통장 : 실제 계획된 소비를 하는 통장 3. 비상금 통장 : 현금성 통장으로 비상시를 대비하는 통장 4. 저축 통장 : 저축을 위한 통장 위와 같이 4가지 통장은 누구에게나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통장입니다. 쉽게 표현하기 위해 통장이라는 말을 썼지만.. 2021. 2. 11. 재테크 기본 시리즈(3) - 보험과 위험을 대하는 자세 보험과 위험을 대하는 자세 우리는 평소에 많은 보험으 접하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보험을 왜 들어야하고 왜 들지 말아야 하는지에 대해 무심히 지나칠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보험에 대해 명확히 파해쳐 보겠습니다. 1. 보험에 환상을 버리자 - 보험은 저축과 상관없는 수수료를 지불하는 상품이다. 보험은 저축하는 수단도 재테크를 하는 수단도 아닙니다. 보험은 수수료를 지불하고 위험에 대비하는 상품입니다. 보험을 통해 절대 금전적 이득을 취하려고 해서는 안됩니다. 보험은 위험을 대비하기 위한 비상용 상품으로 써야지 이를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여 저축의 수단으로 활용해서는 안됩니다. 위 그림은 보험을 잘 나타내주는 그림입니다.(물론 보험은 실제 이것보다 훨씬 수학적이고 복잡합니다.) 발생활 확률이 10%인 암에 .. 2021. 2. 10. 재테크 기본 시리즈(2) - 우리가 금융 상품을 최대한 멀리 해야 하는 이유 우리가 금융 상품을 최대한 멀리 해야 하는 이유 많은 분들이 재테크를 하기 위해서 금융상품에 가입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 글에서 우리가 되도록 금융 상품에 가입하지 말아야 하는 글을 소개하려 합니다. 참고하시어서 재테크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금융 상품에 가입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하는 것은 금융 상품을 가입하려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입니다. 모든 상품마다 가입하고 싶은 이유는 다를 것입니다. 하나씩 따져 보겠습니다. 1. 강제적으로 돈을 모으기 위해서 : 매달 나의 돈을 인출해서 강제적으로 금융 상품에 넣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결국 못 참으면 금융 상품을 해지할 것이고, 이런 강제적인 저축은 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통장을 나누어 돈을 구분할 필요는 있지만 너무 강.. 2021. 2. 7. 자산배분 투자 시리즈 (2) -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해야 하는 이유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해야 하는 이유 투자를 할 때는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하여야 합니다. 그 이유는 위험을 감소시켜 투자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우리는 왜 극적인 수익률보다 위험의 감소에 더 신경을 써야 할까요? 1. 자산을 분배하면 수익률도 위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아래 그림은 미국의 주식, 채권 그리고 금의 1978~2020년까지의 가격을 나타낸 것입니다. 여기서 복리 수익률(CAGR), 표준편차(Stdev), 최고 하락률(MDD)을 주목해 보겠습니다. 주식의 수익률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의 경우에는 변동성을 나타내는 표준편차와 MDD가 높음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채권과 주식을 섞는 다면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 수익률과 변동성이 중간을 나타낼까요? 결과를 .. 2021. 2.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