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산배분6

자산배분 투자 시리즈(5) - 다양한 ETF 종류 소개 - 주식편 다양한 ETF 종류 소개 지금까지 자산 배분을 하는 이유와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자산 배분을 하여 투자할 때 고를 수 있는 ETF의 종류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지수 추종 ETF 가장 대표적인 ETF로 지수를 추종하는 ETF 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ETF로는 SPY, QQQ, IWM 등이 있습니다. SPY의 경우 S&P 500 지수를 추종합니다. 현재 미국 증시에서 가장 대표적인 지수입니다. 미국에서 상위 500개의 주식을 선정하여 발표하는 지수 입니다. 이 지수는 보통 시가총액으로 결정되지만 시청 이외의 다른 부분도 고려되기도 합니다. 이 지수의 장점은 지속적으로 상위 기업들에게만 투자하게 되어 직접 기업을 선별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QQQ는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합니다. 나스닥은.. 2021. 2. 16.
자산배분 투자 시리즈(3) - 올웨더 포트폴리오(정적자산배분) 정적 자산배분 - 올웨더 포트폴리오 & 영구 포트폴리오 자산 배분의 방법에는 동적 자산배분과 정적 자산배분이 있습니다. 정적 자산배분의 경우 포트폴리오의 변경을 하지 않고 꾸준히 현재의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가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정적 자산배분의 방법과 이유 정적 자산배분은 일반 투자자들에게 가장 잘 맞는 투자 방법입니다. 정적 자산배분은 시장에 따라 상황에 따라 어떤 자산을 편입해야할지 고민하지 않아도 좋습니다. 시기에 맞게 리밸런싱만 하면 됩니다. 따라서 특별한 기술도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투자 방법에 비하면 가장 난이도가 낮은 투자 방법입니다. 정적 자산은 기본적으로 경제 상황을 나누고 모든 경제 상황에서 상승할 자산을 모두 .. 2021. 2. 8.
자산배분 투자 시리즈 (2) -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해야 하는 이유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해야 하는 이유 투자를 할 때는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하여야 합니다. 그 이유는 위험을 감소시켜 투자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우리는 왜 극적인 수익률보다 위험의 감소에 더 신경을 써야 할까요? 1. 자산을 분배하면 수익률도 위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아래 그림은 미국의 주식, 채권 그리고 금의 1978~2020년까지의 가격을 나타낸 것입니다. 여기서 복리 수익률(CAGR), 표준편차(Stdev), 최고 하락률(MDD)을 주목해 보겠습니다. 주식의 수익률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의 경우에는 변동성을 나타내는 표준편차와 MDD가 높음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여기서 채권과 주식을 섞는 다면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 수익률과 변동성이 중간을 나타낼까요? 결과를 .. 2021. 2. 6.
자산배분 투자 시리즈 (1) - 투자를 꼭 해야 하는 이유 투자를 꼭 해야 하는 이유 자산배분 투자를 꼭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자산배분 투자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평생을 걸쳐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자본주의를 유지하기 위한 인플레이션과 자산의 우상향 한다. 자본주의를 유지하게 하는 근간 중에 하나는 인플레이션입니다. 지속적으로 통화량을 늘려 돈이 돌아다니도록 해야 하는 것입니다. 기회가 되면 블로그로 글을 쓰겠지만, 돈이 팽창하지 않으면 돈이 돌지 못하게 되고 도미노처럼 파산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게 되면 현금의 가치는 낮아지고 자산의 가치는 높아지게 됩니다. 오늘 받은 만 원을 10년 동안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10년 후 그 가치는 현재 보다 훨씬 낮아질 것입니다. 반면 자산을 .. 2021. 2. 5.
자산 배분? 올웨더 포트폴리오로 익혀보세요!! 올웨더? 그게 뭔데? 오늘은 자산 배분은 대표적인 전략인 올웨더 포트폴리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계적으로 많은 일반인들도 따라하는 헤지펀드사의 전략인데요,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올웨더 포트폴리오란?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세계 최대의 헤지펀드 회사인 Bridgewater가 운영중인 펀드의 전략을 말합니다. 사실 펀드 회사의 전략을 100% 정확하게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토니 로빈슨의 책인 머니에서 Bridgewater의 CEO인 레이 달리오가 포트 폴리오를 대략적으로 공개하게 됩니다. 그가 공개한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습니다.(실제적으로는 아래와 다르다고 합니다.) 주식 : 30% 중기채 : 15% 장기채 : 40% 금 : 7.5% 원자재 : 7.5% 경제에서 말하는 4계절 우리가 보통 투자 자산.. 2021. 1. 15.
자산 운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산 배분!! 자산 배분? 왜 해야해? 자산 운용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저는 자산 배분을 가장 중요하다고 자신있게 꼽습니다. 자산 배분은 자산의 수익률과 안전성을 모두 건전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주식과 장기 채권의 투자 결과를 보겠습니다. 위 자료들을 해석해 보겠습니다. 미국 주식은 72년부터 평균 10.65%의 수익률과 표준편차는 15.65%, MDD는 50.89%가 나왔습니다. 이에 반해 장기채권의 경우 78년부터 평균 8.65%의 수익, 11.11%의 표준편차, MDD는 23.12%가 나왔습니다. 여기서 MDD는 Max Drawdowns의 줄임말로 최고점 대비 가장 크게 자산이 감소했을 때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주식의 경우 최고점 대비 50.89%까지 마이너스가 된 경우가 .. 2021.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