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정보/주식과 경제 생각하기

레이 달리오의 비트코인 리포트

by 알려드림 2021. 1. 31.

레이 달리오, 비트코인 포트폴리오 편입 가능?


미국 시간으로 1월 28일 레이달리오는 비트코인에 대한 리포트를 발간했습니다. 이전 언론보도와 다르게 비트코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담고 있어 리포트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보고서의 작성 이유와 전제

 

 

레이 달리오는 언론에서 비트코인에서 다양한 문의가 있었고 이에 제대로된 답변을 하기 위해 리포트를 쓴다고 밝혔습니다. 이전에 언론에 답변한 내용들이 왜곡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리포트를 쓴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자신은 전문가가 아님을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투자 자산으로서 가치가 있는 이유

 

레이 달리오는 비트코인을 지속적으로 금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금과 비교되는 이유는 세 가지 정도로 요약됩니다.

 

1. 중앙 정부가 가격을 통제할 수 없는 투자 수단이다.

2. 프라이버시를 유지한 채로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이다.

3. 스테크 플레이션에도 효과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이다.

 

레이 달리오는 양적 완화와 금리 인하로 인해 현금을 "쓰레기"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에 비트코인은 투자할 수 있는 대체자산으로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하였습니다. 또한 금과 같이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자산이 많지 않은데, 비트코인은 그러한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것이 긍정적인가는 고민할 필요가 있겠죠? 또한 금의 특징인 불황과 인플레이션에 대비할 수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보통 많은 사람들이 평가하는 공급의 제한은 물음표를 던졌습니다. 그 이유는 대체할 수 있는 가상화폐가 많다는 것이죠. 비트코인 자체만으로 봤을 때는 공급이 제한되어 있고, 채굴률도 금보다 낮지만 이를 대페할 수 있는 가상화폐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공급은 제한은 사실이 아니라고 표현했습니다.

 

 

비트코인의 불안 요소

 

레이 달리오는 글에서 지속적으로 정뷰의 규제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세금, 자금의 불투명, 통화의 위협 등으로 인해 다양한 국가에서 제제를 가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도 최근 관련 발표를 했고, 그날 비트코인은 폭락하였습니다. 하지만 레이 달리오는 불안요소긴 하지만 결국 비트코인은 인정 받을 것 같다라는 의견을 가진 것으로 글에서 느껴졌습니다.

 

또한 아직까지는 거래량이 적어 기관이 들어가기에 부담스럽다는 의견입니다. 하지만 이는 거래량이 늘어나게 되면 해결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현재는 금의 4.5% 정도의 볼륨을 지니고 있지만 이것이 늘게 되면 유동성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습니다.

 

세 번째로는 급격한 변동성입니다. 아직까지는 비트코인의 변동성은 엉청납니다. 아래 그래프와 같이 어떤 자산과 비교하더라고 엄청난 변동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레이 달리오는 이 또한 거래량이 충분히 늘면 변동성이 줄어들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출처 : What I Think of Bitcoin

하지만 결국 가격이 충분히 오르고 거래량이 뒷받침 될 것이냐는 것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비트코인 방향성을 예측할 수 없어 충분히 큰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에 임하여야 한다는 것이죠.

 

결론

 

레이 달리오는 현 시대에 비트코인이 매력적인 투자처라는 것을 인정합니다. 하지만 아직 비트코인은 10년 밖에 되지 않았으며 충분히 안정되지 않은 자산의 볼륨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충분히 고려할 만한 투자 옵션임을 인정하였고, 현재는 80% 정도의 MDD를 감당할 수 있는 정도의 포트폴리오 배분을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과연 레이달리오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이 편입되는 날이 올까요?

 

 

 

비트코인? 사야 하나? 포트폴리오 편입을 따져보자.

비트코인? 포트폴리오 편입은? 안녕하세요. 비트 코인이라니.. 이걸 투자 자산이라고 할 수 있는건가요? 아.. 이 질문에 저도 선뜻 대답하기가 힘듭니다. 그래도.. 요즘 핫한 투자 대상이니 한 번

tellworldinfo.tistory.com

 

반응형

댓글